공정능력 지수인 PP, PPK에 대해서 살펴보려면 이전 포스팅인 참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- 표준편차의 개념 (https://walkingfox.tistory.com/10)
평균 그리고 표준편차의 개념
평균이라는 말은 주변에서 많이 쓰이기도 하며 보통 잘 알고 있는 수치입니다. 그런데 평균이라는 수치는 오해를 유발할 수 있는 약간 모자란 수치입니다. 예를 들어서 두 학급의 시험 성적을 예로 들어볼까요? "1..
walkingfox.tistory.com
- 공정능력 CP, CPK (https://walkingfox.tistory.com/11)
공정능력 CP, CPK, 시그마수준
공정능력을 나타내는 수치(통계량)인 CP, CPK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. 이전 포스팅인 표준편차의 개념(https://walkingfox.tistory.com/10) 에 대해서 한 번 읽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 CP..
walkingfox.tistory.com
용어적으로 보자면
CP 는 치우침을 고려하지 않은 단기 공정능력 입니다.
CPK 는 치우침을 고려한 단기 공정능력 입니다.
즉, CP 와 CPK 는 단기 공정능력 입니다.
PP 는 치우침을 고려하지 않은 장기 공정능력 입니다.
PPK 는 치우침을 고려한 장기 공정능력 입니다.
즉, PP 와 PPK 는 장기 공정능력 입니다.
값을 계산하는 공식도 같습니다.
단지 표준편차를 군내의 변동만을 포함하는 표준편자(within)를 사용하면 단기 공정능력(CP, CPK)이 되며,
군내와 군간의 변동도 포함하는 표준편차(overall)가 사용되면 장기 공정능력(PP, PPK)가 됩니다.
그래서 CP, CPK 의 경우는 공정에 외부의 영향이 없다고 생각되는 짧은 기간의 공정능력을
PP, PPK는 공정의 외부 영향이 충분히 긴 기간동안의 공정능력을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.
아래의 그림은 장기와 단기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는 그래프입니다.
'통계적 공정 관리 (SPC) > 통계.품질.6Sigm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리도의 종류 (0) | 2025.03.03 |
---|---|
3시그마 규칙 ( 68-95-99.7 규칙 ) (0) | 2020.02.20 |
공정능력 CP, CPK, 시그마수준 (10) | 2019.06.03 |
Nelson rules (1) | 2016.07.18 |
계수형 관리도의 정의 (1) | 2016.07.18 |